27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우리나라 성인 6640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대사증후군 발생과의 관련성을 추적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1년 한국인 유전체 역학 연구 중 안산·안성코호트 참여자 가운데 대사증후군이 없는 성인 6640명의 평소 식습관 등을 확인한 후 2008년까지 지속적으로 조사해 실시됐다.
식습관과 대사증후군의 발생과의 관련성을 상호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는 △가장 골고루 먹는 군 △약간 골고루 먹는 군 △보통 △약간 치우치게 먹는 군 △아주 치우치게 먹는 군 등 5개 집단으로 분류해 시행됐다.
그 결과 가장 골고루 먹는 집단이 흰쌀과 김치 위주의 치우친 식사를 하는 집단에 비해 대사증후군은 23%, 복부비만 위험은 42% 각각 감소했다. 저HDL(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 위험도 16% 줄었다.
가장 골고루 섭취하는 집단은 잡곡밥과 채소를 비롯해 다양한 음식을 섭취했다.
이 집단은 잡곡밥(1일 2~3회), 김치 외 채소(1일 6회 이상), 생선·해산물(1일 2회), 해조류(1일 1회), 콩(1일 1회), 육류·달걀(1일 1회), 과일(1일 1회), 유제품(1일 1~2회) 등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골고루 섭취하지 않는 경향이 높아질수록 잡곡밥이나 채소, 생선·육류 등 단백질 식품 섭취가 줄어들었다.
특히 아주 치우치게 먹는 군의 경우 흰쌀밥과 김치를 위주로 식사하는 경향이 높았다.
식약청은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대사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습관이 중요하다”며 “어릴 때부터 편식을 피하고 다양한 식품을 접하는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