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체 불안정’이 결국 암 발생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15 0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분리가 온전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결국 암이 발생하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현숙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세포분열 체크포인트를 조절하는 유방암 억제인자(BRCA2)의 돌연변이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암(악성종양)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14일 규명했다.

돌연변이 BRCA2는 염색체의 불안정성 초래 및 염색체 숫자에 이상을 일으켜 유전정보를 대규모로 빠르게 변형시킨다.

연구팀에 따르면 가족력을 갖는 유방암 환자의 1/3은 BRCA2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병된다.

BRCA2와 관련된 암은 유방암 이외에도 췌장암, 남성 유방암, 난소암이 해당되며 이들은 매우 빠르게 발생하고 극심한 악성을 갖고있다.

BRCA2가 단백질 BubR1의 아세틸화(유기화합물 중의 수소원자)를 강화시키면서 정확한 유전정보 전달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힌 것으로, 세포분열조절 메커니즘과 암 발생과의 연관성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BRCA2 돌연변이 여부에 따른 치료법 선택과 예후인자발굴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이현숙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새롭게 규명된 BRCA2의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병원과 협력해 임상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며 "기존의 암생물학에서 풀지 못한 난제 중에 하나인 염색체 수의 불안정성의 비밀을 밝힌 첫 번째 연구성과로, 세포분열 이상과 암 발생과의 메커니즘을 선도적으로 규명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 신약타겟발굴검증사업 및 21세기인간유전체프론티어연구후속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전문지 셀(Cell)의 자매지인 '발달 세포(Developmental Cell)'지 2월14일자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