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인대는 폐광된 희토류 광산을 복구시키는데 10억 위안이 필요하며, 희토채굴로 인한 환경오염 처리비가 약 380억 위안이 들어간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채굴을 제한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록 중국이 세계 희토류 최대보유국이지만 여전히 채굴 기술력이 부족하고, 무분별하게 채굴된 희토 광물들이 저가에 팔려 수지타산이 안맞는 등 문제가 발생한 것도 채굴제한을 하게 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정부는 향후 희토 채굴에 의해 발생된 환경오염개선에 투자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희토류의 저가 공급 시대를 접을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