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어렵다던 '신소재' 그래핀..삼성전자 첫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5-18 09: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기본 연산 구현..트랜지스터 특허 9건 확보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꿈의 신소재' 그래핀을 활용한 새로운 트랜지스터 구조를 개발했다. 이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사이언스지(誌) 온라인판에 미국 현지 시간 17일자로 게재됐다.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꿈의 신소재' 그래핀을 활용한 새로운 트랜지스터 구조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기존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트랜지스터 개발 가능성을 한단계 높인 것으로 평가돼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사이언스지(誌) 온라인판에 미국 현지 시간 17일자로 게재됐다.

반도체에는 실리콘(Si) 소재의 트랜지스터가 수십억 개씩 들어 있다. 반도체 성능을 높이려면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줄여 전자의 이동 거리를 좁히거나 전자의 이동도가 더 높은 소재를 사용해 전자가 빠르게 움직이게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높은 전자 이동도를 갖고 있는 그래핀은 실리콘을 대체할 물질로 각광받아 왔으나, 그래핀이 금속성을 지니고 있어 전류를 차단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트랜지스터에서는 전류의 흐름과 차단으로 디지털 신호인 '0'과 '1'을 나타내므로 그래핀을 실리콘 대신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도체화 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그래핀의 이동도가 급감하므로 그래핀 트랜지스터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이번에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새로운 동작원리를 적용해 그래핀 자체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했다.

그래핀과 실리콘을 접합하여 쇼키 장벽(Schottky Barrier)을 만들고 이 장벽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전류를 켜고 끌 수 있게 한 것이다.

장벽(Barrier)를 직접 조절한다는 의미에서 삼성전자는 새로운 소자를 '배리스터(Barristor)'로 명명했다. 또한 디지털 신호인 '0' 또는 '1' 을 상호 변환하는 가장 기본적인 회로인 인버터 등을 제작해 기본 연산(덧셈)을 구현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 논문을 통해 삼성전자는 그래핀 소자 연구의 최대 난제를 해결함으로써 추후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며 "관련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기술원은 현재 그래핀 트랜지스터의 동작방식과 구조와 관련한 핵심 특허 9건을 확보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