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신축 다세대 매입 사업에 1만2000여 가구 접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15 13: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정부가 도심내부 무주택 서민층의 전세수요 안정을 목적으로 추진한 '신축 다세대·연립주택 매입' 사업에 총 1만2000여 가구가 접수됐다. 당초 정부 목표치인 2만(수도권 1만, 지방 1만) 가구에는 못 미치나 지난해 실적에 비해서는 크게 증가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4월 4일 공고한 2012년 신축 다세대·연립주택 매입 사업에 목표치의 63%인 1만2521가구가 신청됐다고 15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181가구에 그친 반면 지방은 이에 비해 10배가량 많은 1만1340가구가 신청해 목표치를 넘겼다. 대구·경북권이 4678가구로 가장 많았고, 호남권 2546가구, 부산·경남권 507가구 등이다.

이 사업은 입지, 주택품질, 사업비 등에 대한 사전 심사를 통과한 민간 사업자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사전계약을 맺고 다세대 또는 연립주택을 신축하면, 준공 후 LH가 해당 주택을 매입해 10년동안 장기전세주택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국토부는 당초 목표치에 비해 신청 건수는 감소했지만 지난해 신청 건수(5634건, 매입 확약 2845건)에 비해서는 2배 이상으로 늘었다며, 토지비의 실매입가를 인정하는 등의 매입가 인상 조치와 설계 기준 완화 등으로 건축비 부담을 줄여준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LH는 이들 신청건에 대해 입지·품질 등을 심사하고 장기전세임대로 쓰기 적합한 곳만 매입확약을 맺을 예정이어서 실제 매입하는 물량은 이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국토부 이경석 공공주택개발과장은 "수도권은 땅값이 비싸 LH 매입 가격을 맞출 수 있는 곳이 많지 않고 자체분양 쪽을 선호해 신청 물량이 많지 않았다"며 "반면 지방은 최근 매매·전셋값 강세로 다세대·연립 건축이 활발해, 매입의뢰 건수가 급증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매입 확약을 맺고 공사를 진행중인 대구·대전·광주·경기 등 2845가구에 대해서는 이달부터 본격적인 임대 절차에 들어갈 방침이다.

입주 대상자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2인 가구 425만원, 4인가구 472만원) 이하의 소득을 가진 무주택 세대주로 자산 보유액과 청약저축 납입기간 등을 고려해 선정한다.

입주자는 최대 10년간 거주 가능하며 임대료는 시중 전세가의 80% 선에서 책정된다. 자세한 지역과 모집 가구수 등 입주자 모집 정보는 LH의 홈페이지(myhome.lh.or.kr)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