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이 사람의 건강한 뼈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5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은 고정민 내분비내과 교수팀이 지난 2007년부터 병원을 찾은 40세 이상 남여 1729명(여 940명, 남 789명)을 대상으로 체내에 저장된 철(저장철)의 농도와 뼈 건강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저장철 농도가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동일 성별군에 비해 연간 골밀도 저하 속도가 여성 34.1%, 남성 78.5%로 매우 빨랐다.
저장철의 적정 농도는 여성 10~290ng/㎖, 남성 20~320ng/㎖이지만 개인별 정상범위는 신체적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하다.
조사 대상자를 저장철 농도에 따라 1그룹과 4그룹으로 나눈 뒤 이를 성별로 다시 분석한 결과에서는 여성의 경우 저장철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1그룹의 골소실율은 연간 -0.97%였지만, 저장철의 농도가 높은 4그룹에서는 연간 -1.301%로, 4그룹이 1그룹에 비해 골소실이 연간 34.1% 가량 더 빠르게 진행됐다.
고 교수는 “무분별한 건강보조식품과 철분제의 과잉섭취가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만큼 건강기능식품은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이용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