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은 이번 수립된 지구단위계획에 도로와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계획과 주거용지와 공공시설용지 등 가구 및 획지계획이 포함돼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용도변경이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용도와 높이 등 친환경정비가 가능해 지역간 불균형까지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군은 그러나 용도변경된 지역에서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해 조만간 체계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그동안 운심리 지역은 강하면 면소재임에도 불구, 도시계획이 수립되지 않아 개발에 많은 제한을 받아왔다.
군 관계자는 “운심리 일대의 체계적인 토지이용을 통해 강하면의 소생활권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개발행위와 건축행위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체계적인 지역개발과 지역 균형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