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총저축률 30.4%…30년來 최저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국민소득 감소와 경기침체가 맞물리면서 총저축률이 30년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2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저축률(원계열 기준)은 3분기 기준으로 30.4%로 1982년 3분기의 27.9% 이래 가장 낮았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졌던 2008년과 같은 수치지만 금융위기 당시가 30.42%인데 비해 올해가 30.41%로 더 악화됐다.

총저축률은 총저축(개인·기업·정부 저축의 합)을 국민 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국내에서 투자자금을 충분히 조달하기 어려워지고 경기변동 대응력도 떨어진다.

우리나라의 3분기 총저축률은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1988년 41.5%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89년 38.1%로 내려앉은 뒤 카드대란 발생 직전인 2002년에는 30.5%까지 하락한 바 있다.

계절조정 기준으로도 총저축률은 올해 3분기 30.1%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분기(29.7%) 이후 가장 낮았다.

총저축률의 하락세는 개인저축률이 빠르게 감소한 것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총저축률이 최고치였던 1988년 개인저축률은 18.7%로, 총저축률에서 46.2%를 차지하며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를 자랑했다.

그러나 1991년(18.5%)부터 내림세를 지속해 지난해 4.3%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총저축률에서 개인저축률이 차지하는 비중은 13.5%에 불과했다.

이처럼 총저축률이 줄어든 것은 저축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연평균 가계소득증가율은 △1980년대 17.0% △1990년대 11.9% △2000년대 5.9% 등으로 둔화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제 소득증가 정도는 이보다 낮다.

3분기 국민처분가능소득(원계열)은 전년동기에 비해 2.5% 늘었다. 2009년 2분기(1.7%) 이후 최저 증가율이다. 계절조정 기준으로는 전기에 비해 -0.3% 감소했다. 2008년 4분기(-1.5%)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접어든 것이다.

전문가들은 계속되는 저금리 기조, 신용카드 사용 증가 등도 저축률 감소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저축률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전문가들은 성장세를 높여 저축 여력을 키우는 한편 기업과 가계간 분배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저축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등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