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회 통과가 관건인 상황에서 이미 국민들에게 선택을 받고 매년 재산내역이 공개돼 1차 검증이 끝난 의원들의 입각 가능성이 높아져서다.
여권에선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중진의원들의 입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통 재무관료 출신인 이한구 원내대표가 경제부총리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부산 출신인 서병수 사무총장도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로 거명되고 있다. 박 당선인의 최측근 유정복 의원은 안전행정부 장관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초선 의원들도 떠오르고 있다.
대통령직 인수위 경제 1분과 간사인 류성걸 의원, 경제 2분과 간사인 이현재 의원 등도 산업통상자원부(현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전문의 출신인 신의진 의원은 보건복지부·여성부 장관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정치쇄신 차원에서 논의돼 온 ‘국회의원 겸직 금지’ 가 의원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최근 국회정치쇄신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발의한 국회법 개정안은 겸직 금지 대상에서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을 제외했지만 이를 포함해야 한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5일“장관직을 제의받아도 의원직 유지 때문에 고민”이라며 “초선 의원들도 의정활동에 매진해야 할 시기여서 대개 전문성을 갖춘 비례대표가 입각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당의 원내 관계자도 “의원과 장관 겸직은 법률상 허용되더라도 의원들이 대거 입각한다면 국민들 사이에서 겸직문제가 또 논란이 될 것”이라며 “삼권분립을 저해한다는 지적도 계속 제기될 것”이라고 말했다.
입각시기도 의원들의 고민거리다. 정부 출범기에 전면에 나섰다가 괜한 뭇매를 맞기보다는 본격적으로 일을 하는 시기 합류하는 게 좋다는 의견이 많다. 박 당선인 입장에서도 임기 초 ‘측근 기용’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고, 대선 당시 ‘2선 후퇴’를 선언한 친박계도 조각보다는 다음 개각을 노리는 게 낫다는 판단이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정부 출범 시기 정부에 들어가면 임기 대부분을 어수선한 행정부를 수습하는 데 써야 한다”며 “정부가 본 궤도에 오르는 차기 개편시기에 능력을 가진 의원들이 입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임기 초반 ‘얼굴마담형’ 부처수장보다는 임기 중반 ‘실무형’ 부처수장이 좋다는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