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박근혜 정부가 ‘경제민주화’를 토대로 중소기업 지원에 힘을 쏟겠다고 밝힌 만큼 대기업보다 작지만 내실있는 강소기업에 주목할 때라고 조언한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지난해 대선일 다음 거래일인 12월20일부터 이날까지 0.5% 상승했다. 이 기간 코스피 중형주는 1.64%, 소형주는 6.03%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상적으로 지수는 코스피 대형주 등락률에 받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고서도 중소형주 약진이 상대적으로 두드렀다는 지적이다.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도 10% 가량 상승했다.
이같은 결과는 통상 증시가 실질적 효과보다 선기대감이 반영되는 경향이 높은데 박근혜 정부가 출범 전부터 밝힌 주요 정책에 따른 시장 예상과 투자자의 관심이 반영됐다고 풀이된다.
이트레이드증권 오두균 연구원은 “앞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다른 주요 경제 부처를 모두 제치고 인수위 최초로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첫 번째 업무보보고를 받았다”며 “향후 국내 성장의 중심이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축이 옮겨질 경우 대기업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한 동반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21일 박근혜 정부가 밝힌 국정 목표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주요 정책 방향을 근거로 전문가들은 향후 대기업보다 중소기업 수혜 가능성에 더욱 무게를 둔 분위기다. 당시 인수위는 ‘일자리 중심 창조 경제’를 첫번째 국정목표를 내세웠고 총 5대 국정목표, 21개 국정전략, 140개 국정과제를 발표했다.
이에 대해 우리투자증권 김병연 연구원은 “기존 창조경제를 통한 성장 동력 강화와 함께 중소기업의 주역화 등 의지가 국정 과제에 반영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투자증권이 예상한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수혜 업종은 IT(전기전자), 소프트웨어, 의료, 영화, 게임 등 컨텐츠 산업과 물류, 부동산(건설)이다. 반면 상대적으로 지주사, 통신, 유통 등은 피해산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수혜 업종이 박근혜 정부가 구체적인 지원을 약속한 업종이라는 공통점을 갖췄다는 것보다 전통적으로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진출한 사업이 꼽히지 않은 점이 눈에 띈다.
이는 박근혜 정부가 금산분리 강화, 재벌 순환출자 금지, 면세점 특허 의무할당 등 대기업을 겨냥한 주요 정책을 국정 과제로 내세웠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주사를 차치하고 유통, 통신 등은 이미 대기업이 주력 사업으로 진출한 상황이다.
여기에 대기업의 경영 활동에 견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기금의 의결권 행사 강화 방침도 변수로 꼽힌다. 연기금은 증시 최대 기관투자가로 시장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