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용산의 꿈'… 미래가 안 보인다

  • 용산역세권 첫삽도 못뜨고 '죄초'… 후폭풍 거세질 듯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총사업비 31조원 규모로 단군 이래 최대 사업으로 불리던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좌초 위기에 놓였다.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이하 드림허브)는 13일 2000억원 규모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에 대한 이자 52억원을 갚지 못해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했다.

당초 마감일인 12일 자정까지 진행된 대한토지신탁과 코레일 간 지급보증 확약서 발급 문제가 이해당사자 사이의 상반된 견해 차로 최종 합의점을 찾지 못해 이자 상환에 실패했다. 대한토지신탁은 우정사업본부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부지를 무단 사용한 데 따라 드림허브에 배상하기로 한 257억원을 신탁 중이다.

이에 따라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은 좌초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금융기관이 이를 계기로 그동안 발행한 총 2조4000억원 규모의 ABCP 전액을 만기 전에 회수(기한이익상실)할 경우 용산 개발사업은 무산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다.

다행히 디폴트에 들어갔다고 해서 사업이 완전히 파산된 것은 아니어서 향후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등을 통해 사업을 정상화하는 방안도 예상할 수 있다. 은행권도 ABCP가 대출이 아니라 투자금 성격인 만큼 당장 일제히 투입자금을 회수하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토지주이자 최대주주인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 간 불협화음이 계속되고 있어 앞으로 사업이 정상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정부도 이 사업이 민간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인 만큼 관여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따라서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이 공영개발로 전환될 가능성도 희박한 상황이다.

사업이 이대로 좌초되면 토지주인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들은 자본금 1조원을 허공에 날리게 된다. 특히 1대와 2대 주주인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은 자본잠식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양측이 책임 소재를 다투기 위한 소송전도 불사할 태세다.

개발구역에 포함된 서부이촌동 주민들의 피해도 불가피하다. 서부이촌동 주민들은 코레일과 서울시 등을 상대로 사업 실패와 개발구역 포함에 대한 책임을 묻는 소송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박상은 새누리당 의원은 "이번 사태의 책임은 정부와 서울시, 출자사, 코레일 모두에게 있다"며 "시장 활황기 때 만들어진 부동산 불패 신화에 대한 맹신이 부른 일종의 참사"라고 비난했다.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은 코레일이 보유한 용산 철도정비창과 서부이촌동 일대 51만5483㎡를 111층 랜드마크타워·쇼핑몰·호텔·백화점·주상복합아파트 등 60여개 동의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