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건설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최대의 유동성 위기를 맞은 STX그룹 악재로 우리은행은 충당금 적립 등의 부담에 따른 실적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앞서 우리은행은 이번 STX건설 법정관리 신청에 대해 “강덕수 회장 개인 회사라 지원하기가 어려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계상 지난해 200억원 이상 적자를 기록한 건설회사 가운데 절반 이상의 주채권은행이 우리은행이었다. 쌍용건설이 대표적이며 이밖에 남광토건과 삼부토건, 두산건설, 삼호, 코오롱글로벌 등이다.
조선과 건설업 등 어려움이 큰 기업들에 대출을 많이 해준 데 따라 우리은행의 부실채권 비율도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STX조선해양의 자율협약으로 우리은행이 쌓아야 할 충당금만 5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저금리 등 가뜩이나 경영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 부실로 인해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높아지면 실적 악화는 불보듯 뻔하다”며 “실적 악화를 막기 위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이 줄어드는 등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