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수는 3000만명을 넘어섰다. DMC미디어 조사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의 이용 시간은 하루 평균 2.9시간이다. 10명 중 4명은 중독 성향까지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3040 세대들이 스마트폰 게임 헤비유저로 떠오르면서 그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중독성이 강하고, 게임 특성상 손목은 고정시킨 채 손가락만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 손목터널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가락의 주된 감각을 담당하는 정중신경(이 손목 내부의 통로인 수근관을 지날 때 눌려 생기는 질환이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7~2011년) 손목터널증후군으로 병원에 다녀간 환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 1만 9145명이었던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는 2011년 약 36% 증가한 3만 61명으로 늘었다.
도현우 구로예스병원 원장은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 사용을 줄이고 온찜질을 해주면 대부분 증상이 완화되지만, 방치 시 손을 제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운동 장애까지 올 수 있으므로 증세가 보름 이상 지속된다면 전문의를 찾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의 경우 손가락 관절염에 시달리기도 한다.
익숙치 않은 터치 방식에 적응하기 위해 손가락을 세워 손끝으로만 터치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 휴대전화에 비해 손가락 관절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 손가락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주변 근육, 힘줄에 반복적인 충격이 가서 손가락 관절 사이가 닳게 되고 결국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손가락 관절염이 생기면 보통 손가락 마디가 뻐근하거나 붓고 손바닥까지 찌릿한 통증이 퍼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상태가 심해지면 손잡이·펜 등을 잡을 때 손이 저린 증상이 생긴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가락 관절과 주위가 뻣뻣한 현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면 위험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가락 관절염 예방을 위해서는 터치를 할 때 가급적 엄지와 검지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또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손과 손목이 뻐근하다고 느껴질 때는 잠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