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
따라서 정부는 지난 3일 환경부 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인 서울대공원과 반달가슴곰 수컷 1마리를 맞교환했으며 암컷 1마리를 임대했다.
현재 인수 받은 암수 각 1마리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센터의 증식장에서 교미를 앞두고 증식장에 있던 기존 곰들과 얼굴 익히기에 들어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측은 “이번에 서울대공원으로부터 들여온 곰은 북한에서 도입된 11년생 수컷 1마리와 2006년 1월 서울대공원 인공증식장에서 태어난 8년생 암컷 1마리”라며 “올해 인공증식이 가능한 암컷이 2마리뿐이고 종 다양성의 확보를 위해서 암컷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에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암수 각 1마리를 지리산에 위치한 국립공원 종복원기술원에서 반달가슴곰과 교미를 유도하고 인공증식을 통해 개체수를 늘려갈 예정이다.
이번에 인수받은 개체들은 모두 번식이 가능한 연령인 만큼 번식기인 6~7월에 성공적인 교미가 이뤄질 경우, 암컷은 내년 1~2월 새끼 출산도 가능할 것이라는 게 종복원기술원 측의 설명이다.
권철환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장은 “앞으로도 반달가슴곰 등 멸종위기종 증식·복원사업 성공의 핵심요소인 종자자원종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관계 기관 간 동물 교류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며 “서울대공원에서 인수받은 암컷이 내년 1월에 새끼를 출산해 지리산 야생에 방사될 수 있도록 국민들이 많은 관심과 애정으로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