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주택금융공사가 지난해 전국 만 20~59세 가구주 5000명을 대상으로 주택금융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세와 월세가구가 전체 가구의 각각 25.4%와 13.2%를 차지했다. 특히 2011년까지는 거의 없던 반전세가 1년만에 전체 가구의 4.4%로 비중을 늘렸다. 전세가 점차 월세로 가고 있는 것이다.
반면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49.6%로 2011년의 50.6%보다 1% 포인트 감소했다. 2007년 해당 비중이 63.6%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크게 낮아진 것이다.
전세 임대 계약을 지속하는 평균 기간은 2.9년, 월세는 2.3년이었다. 하지만 전체 가구주의 77.6%는 '향후 주택 구입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내 집 마련'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높다는 의미다.
지난해 전세 보증금은 평균 1억183만원으로 최초로 1억원을 넘어섰다. 2011년 9047만원보다 1000만원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2010년에는 7528만원이었다.
반전세 보증금도 449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00만원 이상 올랐다. 월세 가구주의 평균 임대료는 33만원이었으며 40만원 이상이 전체의 32.6%로 가장 많았다.
또한 전세 계약을 유지하고 싶은 가구의 53.5%는 보증금이 5% 이하로 올라야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10% 이상 인상해도 수용할 수 있다는 가구는 전체의 13.3%에 불과했다.
향후 집을 임차하려는 가구는 전체의 58%를 차지했으며, 이들 중 85.2%가 전세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차 희망가구의 61.0%가 아파트를 선호했으며 주택 면적으로는 47%가 66~98.9㎡(19.8평~29.6평)를 원했다. 전세 희망가는 1억원 미만이 전체의 41.5%로 가장 많았다.
임차 보증금 마련 방법은 은행권 대출이 58%로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자체 자금을 활용한다는 응답은 31.2%에 그쳤다.
금융권 대출 상품을 이용하는 가구는 전체의 40.1%였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이용률이 전체의 30.6%, 전세자금 대출이 8.8%, 중도금대출이 1.4%였다.
지난해 주택담보대출 이용 가구의 평균 대출액은 8998만원으로 전년 대비 300만원 늘었다. 월 상환액은 65만5000원으로 전체 가구주 59.3%가 상환액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전세자금 대출 이용가구의 평균 대출액은 4720만원이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와 관련해 5억원 이상의 고액 전세 대출을 억제하는 한편 저소득·저신용층의 임대 지원을 위한 전·월세대출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