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2030년 서울은 현 도심인 한양도성과 강남, 영등포·여의도가 중심이 된 3각 도심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향후 20년간 서울의 미래상이 담긴 '2030 서울플랜(도시기본계획안)'을 26일 발표했다. 이 계획은 도시경영에서 법정최상위 계획으로 '소통과 배려'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서울의 다양한 구성원이 계획 단계별로 참여한 '시민참여형 도시기본계획'이란 점에서 차별화된다.
사전 준비단계에 전문가 자문단, 미래상 도출단계 100인 서울플랜 시민참여단, 구체적 계획(안) 작성 때 전문가·시민·시의원·공무원 등 108명으로 구성된 '서울플랜수립 추진위원회'가 참여했다. 서울시립대 권원용 명예교수를 총괄 책임자에 두고 분야별 외부전문가도 책임계획가(MP, Master Planner)로 위촉했다.
2030 서울플랜의 구성은 '5대 핵심이슈 계획', 이를 공간차원에서 구현하는 '공간계획'으로 이뤄진다.
내용별 5대 이슈를 보면 △최저소득기준 보장률, 평생교육 경험률 등 5개의 계량화된 계획지표에 의해 그 실현과정이 모니터링되는 '차별없이 더불어 사는 사람중심도시' △일자리와 활력이 넘치는 글로벌 상생도시 △역사가 살아있는 즐거운 문화도시 △생명이 살아 숨쉬는 안심도시 △주거가 안정되고 이동이 편한 주민공동체 도시 등이다.
공간계획은 서울의 정체성 회복 및 강화, 대도시권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역별 특성화된 균형발전, 시민 생활환경 획기적 개선으로 4대 정책방향을 설정했다.
1990년 최초 법정 도시기본계획 수립 뒤 지속됐던 '1도심-5부도심-11지역중심' 체계는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으로 전면 개편한다.
이때 3도심은 기존 도심(한양도성)을 세계적 역사문화중심지로 육성하면서, 이미 도심급 중심지에 속한 강남과 영등포·여의도를 도심으로 위상을 격상시켜 국제업무중심지(IBC), 국제금융중심지(IFC)의 기능을 분담한다. 다시 말해 이 3개 지역이 글로벌 경쟁력을 선도하게 된다.
7광역 중심에는 용산, 청량리·왕십리, 창동·상계, 상암·수색, 마곡, 가산·대림, 잠실이 속한다. 서울의 5대 생활권별 1개소의 광역중심을 설정하되, 권역 규모 및 지역간 균형발전을 고려해 동북권과 서남권에 1개소씩 추가했다.
광역교통축은 수도권과 서울의 중심지를 연결해 설정하도록 정부와 협의할 예정이다.
수도권 서북권과 동남권 연계 강화를 위해 신분당선은 한양도성(도심)을 거쳐 고양시 삼송까지 연장한다. 인천~가산~강남·잠실을 잇는 남부급행철도를 건설해 수도권 서남권과 동남권을 효율적으로 잇는다.
이날 서울의 5대 권역별 발전방향과 계획과제도 제시됐다. 권역별 구상을 2016년까지 치밀하게 수립해 나간다. 일례로 생활권계획은 주민, 자치구의 전면적 참여로 지역생활밀착형 현안을 담아낸다.
서울시는 이번 계획(안)을 향후 권역별(자치구) 의견청취, 공청회, 국토교통부 등 관련기관 및 부서 협의,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초까지 확정키로 했다.
박원순 시장은 "도시계획은 한 아이가 성인이 되기까지 삶과 삶터에 대한 희망을 담은 것"이라며 "보다 광범위한 토론과 논의를 거쳐 한 단계 도약하는 서울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