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약속 어긴 민간발전사 6차사업 선정 특혜 논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0-14 16: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기출 기자= 지난해와 올여름 최악의 전력난에 일부 민간발전사의 약속 불이행이 한몫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들을 또 다시 6차 전력수급계획 사업자로 선정해 특혜 논란을 빚고 있다.

정부가 이들이 발전소를 제때 짓지 않아도 아무런 벌칙을 받지 않도록 해 장기적인 전력수급난 마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전력 수급계획에 참여했던 민간발전소가 짓지 않은 발전기는 그동안 4개사 8개로 원자력발전소 4개가 넘는 450만㎾의 전력수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지난해와 올해 최악의 전력난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14일 국회통상산업자원위원회 민주당 박완주의원(천안을)이 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6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르면 8개 민간발전사가 1176만㎾ 용량의 발전소 건설에 참여할 예정이다.

계획대로 이행되면 2020년 국내 발전설비는 현재(8230만㎾)보다 2957만㎾가 늘어나 1억1000만㎾의 생산능력을 갖게 되며 민자 발전은 총 발전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최대 25%까지 늘어나게 된다.

민간발전소는 최근 수년째 계속되는 전력난에 독점적 사업지위와 안정적 고수익 등 기업들에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이우면서 정권적 특혜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 300만㎾의 발전기를 돌리는 포스코에너지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1818억 원에 달하는 등 민자 6개사 한해 수익이 9300억 원에 달하면서 지나친 폭리구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사업권만 따내면 수천억대 영업권이 보장돼 최근 위기에 빠진 동양그룹이 내놓은 동양파워는 6차 수급계획 삼척화력발전소(200만㎾)를 건설 예정인데 가동되면 연간매출 1조5000억원, 영업이익 3000억원이 예상돼 매각대금이 800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동성 위기를 겪는 STX에너지 역시 자회사인 STX전력의 북평화력발전소(120만㎾)를 비슷한 금액을 매각하려 하고 있다.

특혜성 사업이 민간발전사들에게 넘어가지만 이들이 전력수급사정과 경기에 따라 발전소를 짓지 않아도 아무런 책임을 짓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민간발전사 발전소건립 철회 및 미반영 현황’에 따르면 2012년까지 발전계획에 참여했다가 이를 포기한 업체는 GS-EPS(2기 100만㎾), 대우건설(3기 163만㎾), 대림(2기 140만㎾), 포스코건설(1기 50만㎾) 등 모두 453만㎾에 달하지만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았다.

6차 전력수급계획에 사업인가를 받은 민간발전사는 SK건설(200만㎾), 삼성물산(200만㎾), 동양파워(200만㎾), 동부하슬라(200만㎾), GS EPS(95만㎾), 대우건설(94만㎾), SK E&S(95만㎾), 현대산업개발(92만㎾) 등으로 이 가운데 GS-EPS, 대우건설 등이 약속을 지키지 않은 만간 발전사들이다.

문제는 6차 전력수급계획이 민자 발전을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이전에도 전기수급에 큰 피해를 끼쳤던 업체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어 과거의 행태가 반복될 우려를 낳고 있다.

박완주 의원은“특혜성 사업인 전력수급계획에 참여했다가 약속을 지키지 않는 민간발전사에게 아무런 제재수단이 없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강력한 제재수단을 만들고 마치 ‘아파트 딱지’처럼 프리미엄을 붙여 거래하는 사업권 양도양수를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