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별관 두집 살림에 따른 업무효율성 저하 주민 피해, 청사 이전 연기에 따른 각종 사업이 제동,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축 세종시의 상징성 실추 등 타격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 매우 우려되고 있다.
현재로선 신청사에 포함된 의회동, 보건소는 애써 끼워맞추려 해도 사실상 건립이 불가능한 상황. 이런 가운데 행정수요 급증에 따른 공무원 수 증원을 고려한 건립계획 수립이 딜레이 되면서 현재 사용하고있는 청사의 업무공간 부족으로 업무가 둔탁될 것 같아 걱정이 된다.
청을 포함해 세종시의회, 보건소 건립 등 밑그림을 그려, 총사업비를 책정해 놓은 상태이다.
그리고 부족 예산 탓에 시청사 본청, 의회동 지하층까지만 공사 발주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의 핵심은 SOC사업비 축소 방침과 맞물려, 이 과정에서 464억원의 예산부족 사태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내년 하반기 청사 이전을 전제로 추진해 온 사업이 늦어짐에따라 시 행정에 큰 혼란이 예상된다. 우선 현재 시청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옛 연기군청사(조치원읍 신흥리)의 활용 계획 마련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발전위원회가 현 시청을 활용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의 세종시 이전을 확정했지만, 시청 이전 지체로 유치에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이에 세종시 한 관계자는 “현 예산으로 증축·부지면적 확장은 불가능하다”며 “사무실 인력배치 조정 뒤, 이마저도 안될 경우 향후 시 재원을 투입 증축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며 “이런 문제로 행정공백이 생길가봐 매우 우려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