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잔디중심 녹지 대체..지속가능한 생태녹지 조성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수원시는 현재 도시공원과 시설녹지 중앙분리대 등의 녹지는 잔디중심으로 조성, 생태적으로 취약하고 녹지로써의 기능이 저하되어 이를 대체할 생태녹지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생태녹지는 잔디 도입을 최소화하고 다층구조의 천연 숲을 모델로 하는 녹지로, 관리비 절감은 물론 생물서식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잔디녹지 관리비의 30% 수준으로 유지관리가 가능하고, 지하수 유입을 촉진해 도시홍수 예방은 물론 녹지 내 수목의 생육을 건전하게 한다.

시는 △다층구조(multilayer) 숲 형태 녹지 조성 △잔디중심 지피식물 대신 산림 지피식물 도입 △녹지 구조변경을 통해 관리유지비 1/3이하 수준으로 절감 △무농약 생물다양성 확보 등의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안구 정자동 지구단위계획 구역에 3만㎡의 생태녹지를 시범조성했는데,완충녹지와 연결녹지를 조성하고 시범지 주변 산림 분석을 통해 자생종 등의 수목을 다층구조로 식재했다.

아울러 녹지 내 빗물의 지하수 유입 촉진을 위해 유공관과 침투시설을 설치했으며, 빗물의 저류기능과 녹지의 생태성을 높이기 위해 곤충호텔과 다공질의 돌무덤 등 생물서식처를 도입했다.

이 밖에 교통사고 우려로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중앙분리대에는, 억새와 수크렁 토끼풀 녹지 등을 조성해 관리비 절감과 도시에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생태녹지를 비롯한 다양한 녹지모델 조성을 통해, 녹지의 생태성은 높이고 관리비는 절감하는 창조적 녹지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