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전화 플랫폼 T전화를 19일 상용화했다
T전화는 전화의 근본적 기능인 통화를 음성과 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업그레이드해 믿을 수 있고 편리한 통화 이상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한 전화 플랫폼이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T전화는 이날부터 삼성 갤럭시노트3 이용자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식을 통해 상용화하고 이주 중 출시 예정인 LG G 프로 2에 선탑재된다.
내달에는 팬택 베가 시크릿업 이용자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
갤럭시노트3 보유 이용자 중 킷캣 OS를 사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표시되는 업그레이드 알림을 따라 진행한 후 앱 리스트에 추가된 T전화 아이콘을 클릭하면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T전화 모드 최초 사용시 홈화면 메뉴바는 기존 제조사 앱의 전화.연락처로 설정돼 있어 원하는 경우 기존 전화.연락처를 T 전화로 변경하면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다.
LG G프로 2는 단말 최초 부팅시 T전화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부팅시 LG전화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도 추후 T전화 아이콘 또는 홈화면 위젯을 통해 T전화 모드로 변경이 가능하다.
SK텔레콤은 이후 출시하는 안드로이드폰 대부분 기종에 T전화를 기본 탑재할 예정이다.
이번 상용화는 휴대용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편리하도록 사용자환경(UI)을 구성한 기존 스마트폰의 개념을 통화를 중심으로 이용자 입장에서 재정의했다는 측면에서 스마트폰이 새로운 방향으로 진화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2년에 걸친 연구개발을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원점에서부터 업그레이드 해 스마트폰 답게 쉽고 편한전화, 안심하고 걸고 받는 전화, 함께 만드는 전화라는 세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이용자가 가장 필요로 하고 자주 사용하는 통화라는 기본 기능 안에서 한번에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원치 않는 전화를 피하고 싶고 믿을 수 있는 통화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를 해결했다.
다른 이용자가 등록한 전화번호 평가를 공유해 해당 번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돕는 피싱 방지 기능을 활용하면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도 안심통화가 가능하다.
최근 ICT 업계는 물론 금융, 주거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인정보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T전화의 안심통화 기능은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T전화는 첫 화면부터 키패드나 앱이 아닌 가장 많이 통화하는 사람들의 이름과 사진이 먼저 보여준다.
일상 통화의 70%가 10명 내에서 이뤄진다는 사실에 착안한 이 화면은 개인별 이용 이력에 따라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
통화 직후 중요한 대화나 약속을 바로 메모할 수도 있다.
레터링, 착신전환, 이미지콜 등 유용하지만 접근이 불편했던 기능들은 통화 화면에서 클릭 한번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모두 PC나 앱을 통해서 따로 이용하던 기능들인 전화번호 안내를 통하지 않더라도 100만개의 번호를 이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순서로 바로 찾을 수 있는 기능, 번호와 함께 홈페이지, 지도 등 관련정보도 함께 볼 수 있는 기능 등 통화를 스마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업그레이드 했다.
SK텔레콤은 향후 관련 API를 외부 사업자들에게 개방하는 열린 협력을 통해 T전화를 외부 업체의 창의적 서비스와 융합해 지속 확장ㆍ발전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화 플랫폼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T전화 첫 상용화를 기념해 20일부터 내달 31일까지 전 국민 대상 T전화의 럭키박스 이벤트를 진행한다.
T 전화 웹사이트(www.skt-phone.co.kr)에서 다양한 기능을 확인하면 즉석 응모를 통해 맥북에어, 아이패드, 문화상품권 등을 지급한다.
T전화 모드를 1개월 이상 사용할 경우 데이터쿠폰 500MB를 선착순 20만명에게 제공하는 이벤트도 20일부터 진행한다.
위의석 SK텔레콤 상품기획부문장은 "통화 혁신을 주도할 T전화는 전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올-IP 기반의 차세대 통화 플랫폼"이라며 "실생활에서 가치를 체감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