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여신금융협회]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지난해 정부가 창조경제 정책기조에 따라 벤처 중소기업 투자를 확대하면서 신기술금융업계의 신규 투자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6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기술금융사의 신규 투자는 91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3% 증가했다. 이는 2011년에 기록한 신기술 투자액 6146억원을 크게 웃도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이들 신기술금융사의 신규 투자업체는 2012년 216개에서 지난해 355개로 무려 139개 늘어났다.
금융위원회에 신기술금융업으로 등록한 40개사 가운데 한 번이라도 투자 실적(투자 잔액)이 있는 회사는 19개로, 지난해까지의 투자잔액은 944개 업체에 총 1조8522억원이다. 2012년 1조4690억원보다 26.1% 증가한 수치다.
이같은 실적은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기조에 따라 벤처 및 중소기업 투자가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신기술금융사는 자사의 자본금에 의한 자체 투자뿐 아니라 타사와 신기술투자조합을 결성해 펀드를 운영하면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한다. 현재 운용 중인 신기술투자조합은 70개에 2조6502억원 규모다. 지난해 13개 신기술투자조합이 신규 결성됐으며 약정액은 3196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이 7년 미만의 초·중기단계 기업에 투자한 비중은 38.2%로, 2011년(34.5%), 2012년(37.7%)에 이어 3년 연속 증가세다.
신기술투자조합에 대한 한국정책금융공사, 한국벤처투자, 연·기금 등 정책기관의 출자비중은 2011년 33.1%에서 지난해 43.3%로 10.2%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일반법인의 출자비중은 2011년 41.6%에서 지난해 33.8%로 7.9%포인트 감소했다.
이에 대해 협회는 "정부 정책성 자금 출자가 대폭 확대되고 있는 것에 비해 민간자금의 유입은 상대적으로 정체하면서 정책자금에 대한 투자의존도가 심화되는 양상"이라며 "민간자금 유입을 확대할 수 있는 세제지원책 마련 및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자금지원 대상기업 확대 방안 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지난해 신기술금융업권의 업종별 투자 비중은 제조업(54.4%)과 정보통신(23.4%) 분야가 77.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다만 창업투자업권은 제조업(22.5%)보다 정보통신(35.2%)의 비중이 높고, 엔터테인먼트(20.5%), 생명공학(10.6%) 등 다양한 업종에 투자가 분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