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보고서는 이경호 회장의 발행인 편지를 포함해 모두 67페이지 분량으로 의약품 유통 투명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 전문가 제언, 제약기업 사례 발표, 외국 사례, 법률전문가의 지상강연 등 5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 회장은 발행인 편지를 통해 “윤리경영에 대한 산업내·외의 시각차를 좁히는 첫 작업으로 이번 정책보고서를 발간했다”며 “제약협회는 정부, 국회, 이해관계자들과 소통을 강화하여 윤리경영 시스템 조기 정착에 힘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제약인들을 향해 “윤리경영은 우리의 업(業)을 바로 세우는 일”이라면서 “윤리경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다를수 없고 신약과 제네릭이 구분될수 없으며 더 이상 숭고한 생명과 업의 본질을 스스로 부정하는 리베이트 행위를 하지 말자”고 호소했다.
정책보고서에서 고형우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장이 ‘의약품 유통 투명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소개했고, 강신민 공정거래위원회 제조업감시과장이 ‘허가-특허 연계제도와 제약분야 지식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법집행 방향’을 주제로 입장을 밝혔다.
이번 정책보고서는 협회 회원사들은 물론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비롯한 정부 부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 의사협회와 약사회 등 보건의료 유관 단체들에 배포해 소통 증대와 함께 윤리경영 시스템의 조기 정착에 도움이 되도록 할 예정이다.
보고서에 담긴 내용은 협회 홈페이지(www.kpma.or.kr)를 통해 모두 공개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