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 1단지.[사진=아주경제DB]
부동산 시장 살리기를 위해 내놨던 최경환 경제팀의 다양한 규제 완화책이 벌써 약발이 다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대표 재건축 단지인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 시세는 최저 8억7000만원 선까지 낮아졌다. 이는 최경환 부총리가 처음 내놓은 규제완화 방안인 총부채상환비율(DTI)·주택담보대출비율(LTV) 완화 이전 실거래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실거래가를 보면 은마아파트 전용 76㎡는 7월까지만 해도 8억4000만~8억9000만원 대에 거래가 이뤄졌다. 이후 DTI·LTV 완화 및 재건축 활성화 방안이 담긴 9·1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8~9월에는 8억6000만~9억2000만원 선으로 2000만~3000만원씩 상승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다시 하락세를 나타내는 것이다.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전용 112㎡는 9월만 해도 시세가 11억5000만~11억6000만원까지 올랐지만 최근 7월말 수준인 11억2000만~11억3000만원 선으로 내려왔다. 강동구 둔촌 주공아파트 2단지 전용 53㎡는 지난 9월 5억9000만~5억9500만원까지 올랐다가 최근 약 3000만원 내린 5억6200만원에 팔렸다.
이처럼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약세를 보이는 이유에 대해 정부의 규제 완화 이후 호가(집주인이 부르는 값)이 급등한데 따른 피로감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감정원 김세기 주택통계부장은 “일부 지역은 실수요자들의 매매전환으로 상승세를 나타냈지만 서울 재건축 추진 단지는 높아진 호가에 대한 부담으로 매수인 관망세가 확산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자료=부동산114]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9·1 대책의 조속한 국회 처리와 함께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폐지 및 분양가 상한제 탄력운영 등 시장에 탄력을 줄 수 있는 방안 시행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르고 있다. 특히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의 경우 올해말 제도 유예기간이 종료될 예정이어서 별도 조치가 없는 한 연내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지 못한 아파트는 내년부터 모두 초과이익 환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정부의 빠른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