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SK텔레콤과 KT가 28일 기존 LTE보다 4배 빠른 ‘3밴드 LTE-A’의 세계 최초 상용화를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3밴드 LTE-A는 3개 대역의 주파수를 묶어 최고 300초당메가비트(Mbps)의 속도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는 기존 일반 LTE보다 4배, 3세대(G)보다는 21배 빠른 속도다. 1기가바이트(GB) 영화 한 편을 28초 만에 내려받을 수 있는 속도다.
특히 SK텔레콤은 이날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4 S-LTE’ 물량을 일부 확보해 소비자 평가단을 대상으로 29일부터 이통3사 가운데 가장 먼저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그러자 KT는 곧바로 보도자료를 내고 “100여명의 평가단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상용서비스로 보기 어렵다”면서 “일반적으로 ‘상용화’란 유통망에 휴대전화가 상당수 보급돼 고객이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고 반박했다.
SK텔레콤 측에서는 “유료로 서비스를 판매하면 상용화하는 것이지, 판매 규모를 따질 필요까지는 없다”고 맞섰다.
KT는 또 SK텔레콤의 커버리지(서비스 지역)도 문제 삼았다. SK텔레콤의 경우 분당 서현역 등 한정된 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29일 서비스 시작 시점에는 종로, 명동, 강남, 용산 등 서울시내 중심가와 수도권 전철 전 구간에서 서비스가 가능하다”면서 “내년 1월 본격 서비스 시점에서는 수도권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주요 도시 지역까지 커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3밴드 LTE-A는 3개 대역의 주파수를 묶어 최고 300초당메가비트(Mbps)의 속도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는 기존 일반 LTE보다 4배, 3세대(G)보다는 21배 빠른 속도다. 1기가바이트(GB) 영화 한 편을 28초 만에 내려받을 수 있는 속도다.
특히 SK텔레콤은 이날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4 S-LTE’ 물량을 일부 확보해 소비자 평가단을 대상으로 29일부터 이통3사 가운데 가장 먼저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그러자 KT는 곧바로 보도자료를 내고 “100여명의 평가단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상용서비스로 보기 어렵다”면서 “일반적으로 ‘상용화’란 유통망에 휴대전화가 상당수 보급돼 고객이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고 반박했다.
KT는 또 SK텔레콤의 커버리지(서비스 지역)도 문제 삼았다. SK텔레콤의 경우 분당 서현역 등 한정된 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29일 서비스 시작 시점에는 종로, 명동, 강남, 용산 등 서울시내 중심가와 수도권 전철 전 구간에서 서비스가 가능하다”면서 “내년 1월 본격 서비스 시점에서는 수도권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주요 도시 지역까지 커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