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산에서 바라본 롯데. [사진 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롯데그룹과 관련된 비리 의혹이 계속 터져 나오고 있다.
검찰은 크게 롯데그룹 총수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과 계열사 간 자산거래 과정에서의 배임 의혹, 그룹 및 총수 일가의 불법 부동산 거래 의혹 등 세 갈래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수사 대상이라고 밝히지 않았지만 제2롯데월드 특혜 의혹 등 과거 제기됐던 내용까지 되풀이되며 의혹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 총수 일가 비자금 조성 의혹
먼저 롯데그룹 수뇌부의 비자금 조성 의혹이 검찰의 수사선상에 올랐다.
관심이 집중되는 대목은 수사 과정에서 검찰이 확인했다는 '수상한 자금' 300억원의 출처다. 검찰은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동빈 회장이 계열사를 통해 각각 해마다 100억원, 200억원을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신 총괄회장의 전 비서실장이 보관하고 있던 현금과 서류의 정체에도 검찰은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검찰은 신 총괄회장의 전 비서실장의 처제 집과 롯데호텔 33층 비서실 내 비밀공간에서 신 총괄회장 소유로 추정되는 현금 30억여원, 통장과 금전출납부 등을 발견했다.
검찰은 이 금전출납부가 이른바 '비자금 장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자산개발이 롯데 비자금의 원천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부동산을 사들여서 쇼핑몰 등으로 개발한 뒤 분양·임대하고 때로는 직접 위탁 운영하는 부동산 디벨로퍼인 이 회사는 그룹의 대규모 자산을 매입·매각하고 관리해왔다. 이와 관련해 각종 롯데 관련 부동산·자금 의혹에 롯데자산개발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 계열사간 불법 자산거래·일감 몰아주기 의혹
검찰은 호텔롯데와 롯데쇼핑 내 사업부 간 불투명한 자금 거래에서 비자금이 조성됐을 가능성도 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호텔롯데는 호텔·면세점·테마파크 등으로, 롯데쇼핑은 백화점·마트·슈퍼·시네마 등 각각 3∼4개 사업부로 구성돼 있다.
이들 사업부는 사실상 개별 회사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단일 법인이어서 사업부 간 자금 거래가 불투명하다.
롯데그룹은 롯데쇼핑은 상장사여서 기업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면세사업을 하는 호텔롯데는 국세청의 감시를 받기 때문에 사업부간 비정상적인 거래가 불가능하다고 해명했다.
롯데그룹의 화학 계열사 롯데케미칼은 원료 수입 과정에서 비자금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검찰은 롯데케미칼이 원료를 수입할 때 거래대금을 부풀리고, 과대 지급된 거래대금 일부를 일본 계열사를 통해 빼내거나 쌓아두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마련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롯데케미칼은 이러한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고 15일 정면 반박했다.
이밖에 국내외 대형 인수합병(M&A) 과정도 조사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해외 기업 인수 등 연이은 M&A 과정에서 롯데그룹 오너 일가가 부당 이득을 챙겼다는 의혹과 함께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 불법 부동산 거래 의혹
검찰은 롯데그룹 총수 일가가 호텔롯데의 리조트사업 부분 인수·합병 과정에서 비자금 조성을 통한 횡령·배임 등 경영 비리를 저지른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4일 검찰은 호텔롯데 계열 롯데제주리조트, 롯데부여리조트, 부산롯데호텔 등을 비롯해 롯데제주·부여리조트의 지분을 보유했던 계열사들을 압수수색했다.
호텔롯데는 2013년 롯데제주 및 부여리조트를 인수·합병할 당시 리조트 부지를 시세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으로 사들여 부당 이득을 챙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호텔롯데가 리조트를 인수합병하는 과정에서 토지 가치를 부풀리거나 가액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총수 일가의 비자금을 조성하고 회사에 손실을 입힌 게 아닌지 들여다보고 있다.
신격호 총괄회장의 부동간 거래도 의혹을 받고 있다.
신 총괄회장의 개인 땅을 계열사에 팔면서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의혹이다. 신 총괄회장의 오산 땅, 인천 계양구 계양산 골프장 부지 등이 논란에 휘말렸다.
◇일감 몰아주기·매출 부풀리기 의혹
내부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롯데그룹에서 내부 일감 몰아주기, 매출 부풀리기를 통해 비자금이 조성된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기업내부 시스템 구축·운영회사인 롯데정보통신은 롯데백화점 등과 거래한 카드결제 대행업체들에 자사가 개발한 카드결제 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해 수익을 올렸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광고계열사인 대홍기획, 현금인출기 운영업체 롯데피에스넷 등도 내부거래를 통해 부당한 이득을 챙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총수 일가의 '가족회사'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와 비자금 조성 의혹도 불거졌다.
신격호 총괄회장의 셋째 부인 서미경 씨 모녀가 지분을 가진 유원실업은 롯데시네마의 서울·수도권 매점 운영권을 쥐고 한때 연 200억원대의 매출을 올렸다.
신 총괄회장의 장녀인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이 최대주주인 시네마통상과 시네마푸드는 롯데시네마의 지방 점포 매점을 운영하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 명령을 받고 지난 2013년 계약을 해지했다.
◇ 국부 유출·차명주식 비자금 의혹
일본으로의 배당 등 국부유출 논란과 차명주식을 통한 비자금 조성 의혹도 도마 위에 올랐다.
한국 롯데의 지주회사격인 호텔롯데는 일본 L투자회사 12곳(지분율 72.65%)과 일본 롯데홀딩스(19.07%) 등 일본 계열사가 지분의 99%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때문에 대규모 배당금이 일본으로 빠져나가고 차명주식 등을 통해 오너 일가의 비상금으로 조성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롯데그룹은 2014년 롯데 전체 영업이익 3조2000억원 중 일본 계열사 배당된 금액은 341억원으로 약 1%에 불과한 수준이라며 국부유출 논란을 부인했다.
그 외 롯데월드타워 인허가 관련 의혹도 끊이지 않고 나온다.
이명박 정권 당시 국내 최고층(123층) 빌딩인 롯데월드타워의 건축허가가 나온 배경을 둘러싸고 그동안 특혜 의혹이 이어져 왔다.
김영삼 정부 때부터 추진된 제2롯데월드 사업은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군 당국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됐다가 이명박 정부 들어 급물살을 탔기 때문이다.
검찰은 단서가 나오면 제2롯데월드 인허가 과정에서 정치권 금품 로비가 있었는지도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한편 일각에선 검찰 등 수사기관이 로데그룹의 총체적인 비리에 대해 이미 인지하고 있었는데도 이를 방치한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