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가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건물 내에 시설된 광케이블이나 랜케이블 4페어(8가닥)이 필요하다. 신규아파트는 기가인터넷 서비스 제공환경이 대부분 갖춰져 있으나,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건물 내에 구리 전화선만 시설된 경우가 많아 기가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다.
오래된 아파트에 기가인터넷 서비스 제공하려면 건물내에 광케이블이나 랜케이블을 추가 구축해야 하는데 관로 부족과 건물 노화 등의 이유로 구축이 어려워 사실상 기가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했다.
SK브로드밴드와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이 기술은 국제표준단체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지정한 새로운 광대역 기술표준인 지닷패스트(G.fast) 기술을 기반으로 광케이블이나 랜케이블 추가 구축없이 기존 아파트의 구리 전화선(1페어, 2가닥)을 활용해 기존 광랜(100Mbps) 인터넷 보다 5배 빠른 500Mbps 인터넷 속도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SK브로드밴드는 지난 3월 이 기술의 개발을 완료하고 6월 국립전파연구원의 국내기술기준 제정을 완료했다. SK브로드밴드는 이 기술 개발로 기가인터넷 서비스의 사각지대에 있는 가입자들에게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는 물론 고품질의 초고화질(UH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한편, SK브로드밴드는 지난 2013년 9월 세계 최초로 건물 내에 시설된 2페어(4가닥) 랜케이블로 기가급(500Mbps)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해 상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술은 랜케이블 증설이나 교체가 어려운 건물이나 아파트에 상하향 최대 600Mbps의 속도를 제공하고, 기가급 케이블로 구축 또는 증설이 가능한 건물에는 1Gbp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지창 SK브로드밴드 네트워크부문장은 “이번에 개발한 구리 전화선을 이용한 기가급 서비스 제공 기술과 지난 2013년 개발한 2페어(4가닥) 랜케이블을 이용한 기가급 서비스 제공 기술은 선로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SK브로드밴드는 적극적인 네트워크 투자를 통해 기가인터넷 서비스 커버리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향후 기가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