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차에 탄 채로 이동하며 햄버거나 커피 등의 음식물을 구입할 수 있는 일명 '드라이브 스루' 시설에 관해 보행자 안전시설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의 드라이브 스루 이용 경험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절반 이상(56.6%)이 보행자와 차량의 안전문제로 불편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불편을 느낀 주 이유는 ‘진출입 시 인도를 지남에 따라 보행자가 신경 쓰인다’(189명, 37.8%)와 ‘매장주변에 차량이 많아 운전에 방해 된다’(94명, 18.8%)였다.
특히 응답자 중 60명(12.0%)은 드라이브 스루 매장 이용 중 실제 차량 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 대상은 매장 및 주변 ‘시설물’이 35명(7.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차량’ 29명(5.8%), ‘보행자’ 23명(4.6%) 순이었다(중복응답).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사고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는 응답자도 절반에 가까운 246명(49.2%)에 달했다.
한편, 이용자 안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차량 동선에 안전관리요원 배치가 필요하다(131명, 26.2%)’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드라이브 스루 매장 33곳을 직접 조사해 본 결과, 총 9곳(27.3%)은 매장 출차 시 운전자의 시야가 건물이나 담벼락 등에 가로막혀 보행자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주변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 차량 진출을 알리는 출구 경보장치는 12곳(36.4%)이 아예 설치하지 않았고, 설치한 곳 중 3곳(9.1%)은 작동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