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임 위원장은 30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 금융결제원에서 열린 은행권 공동 오픈 플랫폼 개통식 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은) 현재 상황에서는 가능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합병을 통해 경쟁력 있는 기업을 만들 수 있지만 정상과 부실이 섞여 더 어려워질 수 있다"며 "이미 채권단에서 합병 가능성을 검토했고 현실성이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임 위원장은 그동안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정상화가 마무리되면 채권단 주도의 합병도 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 정상화 작업이 끝나면 산업 전체 차원에서 합병이 좋은지 경쟁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나은지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임 위원장은 "채권단 결정은 자구노력의 충실성, 경영정상화 가능성, 해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해 판단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선박금융이나 용선료 협상 또한 매우 불투명해 신규 지원만으로 회사가 살 수 있을지 앞으로 더 큰 리스크를 안게 되는 것이 아닌지 하는 채권단의 우려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다만 임 위원장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도 해운산업 경쟁력 유지 방안 등 정부 차원의 대응책이 마련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진해운 협력업체와 해상 물동량 문제, 해운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 등 금융·해운 산업 측면에서 여러 시나리오를 상정해 다각적으로 대응책을 검토했다"며 "준비해온 대책에 따라 부작용에 대응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