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박정대 두산건설 법무팀장, 법무법인 에이펙스 김재식 변호사, 법무법인 공유 이창록 변호사, 법무법인 유일 정호길 변호사, 서덕석 한라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HUG 김선덕 사장, LH 법무실 백승호 차장, 국토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하심위) 류정 간사, ㈜만유구조컨설턴트 김원기 대표, 대한주택건설협회 박성희 정책관리본부장, HUG 강병권 자산관리본부장 등이 지난달 30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사옥에서 열린 '하자소송의 현황 및 대응방안 수립을 위한 컨퍼런스'에 참석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HUG 제공
HUG에 따르면 이번 컨퍼런스는 최근 아파트 품질에 대한 입주자 권리의식 향상으로 하자보증기관 HUG와 하자분쟁이 늘어나는 가운데, 상당수는 여전히 법적소송을 거치는 등 사회적 낭비로 지적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개최됐다.
HUG는 설립이후 현재까지 전국 9554개 사업장에 총 10조 6054억원의 하자보증서를 발급했고, 이중 3284개 하자사고사업장에 총 8027억원을 대위변제함으로써 주택사업자에게는 든든한 보증지원자로서, 입주자들에게는 하자보수 최종의무자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왔다.
그러나 한편으로 보증이행 사업장 약 20%는 입주자와 소송방식으로 하자판정과 이행금액이 결정됨에 따라 사회적 부담은 물론 HUG의 손실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