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채권금리가 폭등하면서 은행권 대출 금리가 급격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영향으로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높여 대출 관리에 나선 점도 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상품 금리는 11월 들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신한은행의 변동금리형 상품 금리는 지난 10월 말 연 2.90~4.20%에서 이달 16일 3.16~4.46%로 상승했다. 혼합형(고정금리+변동금리) 상품의 금리는 같은 기간 3.04~4.34%에서 3.42~4.72%로 올랐다.
우리은행 변동금리 상품은 10월 말 2.85~4.15%에서 이달 16일 2.91~4.21%로 상승했다. 혼합형도 2.94~4.24%에서 3.22~4.52%로 높아졌다. KEB하나은행 역시 변동형이 지난달 말 2.80~4.50%에서 16일 2.86~4.56%로, 혼합형이 3.08~4.78%에서 3.39~5.09%로 각각 뛰었다.
최근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큰 폭으로 오른 것은 미국 대선 결과와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미국 대선에서 트럼트가 당선된 이후 '트럼플레이션(트럼프+인플레이션)' 우려로 채권금리가 급등하고 있다. 트럼프는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 확대 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정책이 현실화되면 급격한 물가 상승이 예상된다.
채권은 미리 정해진 금리가 수익을 결정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으로 통화 가치가 떨어지면 투자자는 손해를 보게 된다. 이로 인해 채권 수요가 감소하면서 금리가 연일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 규제도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정부는 지난 8월 25일 주택시장 공급물량 규제를 골자로 하는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했고, 10월에는 가계대출 목표치를 초과한 은행에 대해 특별 점검을 실시하겠다며 사실상 총량 규제에 나섰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올리는 방식으로 가계대출을 관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미국이 오는 12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추가 상승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자 가계부채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리 상승으로 인해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 가계의 소비 여력을 제약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내수 부진과 저성장으로 이어져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대출을 받아 생활비를 쓰는 자영업자나 저소득층의 경우 생계에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6년 2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0.9%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저소득층, 자영업자,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가계빚 상환 부담으로 지갑을 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1월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시장금리가 오르면서 대출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부채 부담도 커지고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소비를 제약하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단기적으로는 취약계층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