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AP]
아주경제 이수완 기자 =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내년도 금리 인상 전망에 대해 "매우 완만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대퉁령 당선인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앨런 의장은 14일 (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키로 결정한 후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연준 위원들은 앞으로 기준금리가 어떻게 변동될지의 각자 의견을 담은 표인 '점도표'를 통해 내년에 3차례의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는 지난 9월 발표된 점도표(2회)에 비해 1차례 많은 것이다.
옐런 의장은 "이번 금리 인상은 당연히 미국 경제가 회복되고 있고, 또 회복세가 지속할 것이라는 우리의 판단에 대한 자신감의 반영으로 해석돼야 한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 전망 횟수가 늘어난 것이 트럼프 당선인의 확장적 재정정책이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 그는 "내년도 금리 인상 전망을 변화시킨 변수 중 하나였을 수 있다. 일부 위원들이 재정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다소 반영했다"면서도 "모든 위원이 그런 것은 아니다"고 답변했다.
이어 "트럼프 차기 정부의 재정지출 증가 정책이 연준의 향후 금리 인상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현시점에서 그 영향을 예단하기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의 경제 및 기업 정책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옐런 의장은 "새 대통령에게 어떻게 정책을 펴나갈지에 관해 조언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재정확대 정책과 관련해선 "나의 전임자들과 나는 (과거) 실업률이 지금보다 상당히 높았을 때 재정 촉진책(재정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책)을 촉구한 바 있다"며 현재 실업률이 연준의 장기목표치보다도 약간 낮은 4.6%인 점을 고려하면 재정 촉진책이 고용을 극대화할 것 같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는 옐런 의장이 트럼프 당선자의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스트럭처 투자 등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필요하지 않다는 견해를 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