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9명의 세월호 참사 미수습자를 찾기 위한 수색 계획이 18일 발표된다.
17일 해양수산부는 선체조사위원회와 선체정리업체인 코리아쌀베지, 미수습자 가족과 함께 세월호 선내 수색방식을 두고 의견을 조율 중이다.
당초 해수부는 지난달 17일 코리아쌀베지와 '객실 직립방식'으로 선체를 정리하기로 용역계약(약 40억원)을 체결했다.
세월호 선수·선미 객실 부문만 잘라내 각각 1500t 크레인으로 들어 올리고, 똑바로 세워 세월호 옆에 내려놓은 뒤 수색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선체의 대규모 절단에 대해 세월호 유족과 선체조사위가 '증거훼손'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나섰다.
이에 해수부도 '객실 직립방식'을 무조건 고수하는 게 아니라며 조율에 들어갔다.
또 세월호가 육상이송 과정에 선체변형이 일어나 바다와 평형이 아닌 수직으로 거치돼 해상크레인 사용이 불가능해진 데다, 선체 구조가 매우 약해 붕괴 위험성이 커 절단 자체가 어려워졌다.
이에 세월호가 옆으로 누워 있는 모습 그대로, 최대한 훼손하지 않고 수색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작업은 로프나 와이어로 몸을 연결한 수색팀이 세월호 위쪽(우현)에서 선체로 들어가 사다리나 발판을 설치하고, 선내 추락 위험이 있는 구조물을 제거하면서 수색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선내 추락 위험물이 모두 제거되면 객실이 있는 선수와 선미 아래쪽 부위 등에 진입로를 뚫고 작업자들이 들어가 선내에 쌓인 '모든 것'을 밖으로 꺼내게 된다.
선체조사위도 선교(선장이 지휘하는 곳), 타기실(조타기가 있는 곳), 기관실, 화물창(창고) 등 진상규명에 필수적인 핵심구역 4곳을 제외하고는 증거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진입로를 만들 수 있다는 입장이다.
현재 논의된 방식은 지난해 '세월호 인양선체 정리 기술검토 테스크포스(TF)'가 검토한 방식 중 '수직 진입방식'과 거의 같다.
TF는 △수직 진입방식 △객실 직립방식 △수중 직립방식 △육상직립방식(해상크레인/권양기/스트랜드잭)을 비교 연구했다.
수직 진입방식은 작업자들이 세월호 위쪽으로 들어가 수색하고 객실 쪽에 8∼10개의 천공을, 화물칸 쪽에는 14m×4m 크기 화물 반출구 8곳을 뚫는 방향으로 검토됐다.
수직 진입방식의 비용은 40억원, 미수습자 수습기간은 90∼120일로 예상됐다.
객실 직립방식과 비용은 같지만, 작업자들이 고공작업을 해야 하기에 기간이 1.5배 이상 길어지고 추락이나 낙하물에 따른 부상 위험이 우려된다. 객실 직립방식의 미수습자 수습기간은 60일로 예상됐다.
해수부는 수색계획 발표 직후 또는 19일에는 본격적인 수색에 착수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친다는 방침이다.
현장 관계자는 "지금까지가 미수습자 수습을 위한 준비과정이었다면 18일부터는 본격적인 작전 태세에 들어가는 셈"이라며 "여건이 허락하면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점검과 다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