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경기선행지수, 한국만 '역주행'…경기 전망 '빨간불'

  • OECD 평균 경기선행지수 상승 국면인데, 한국만 뒷걸음질

[사진=연합뉴스]


향후 한국 경기 전망에 '빨간불'이 켜졌다.

13일 OECD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99.8을 기록해 전월(99.8)에 이어 2개월 연속 100을 밑돌았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가 100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4년 9월(99.8) 이후 약 40개월 만에 처음이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다. △제조업 재고순환지표 △장단기 금리 차 △수출입물가비율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자본재 재고지수 △코스피 등을 고려해 지수를 산출한다. 지수 100을 기준점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 확장, 이하면 경기 하강으로 분석한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2014년 10월(100.0) 100선을 넘어선 이후 대체로 상승 흐름을 이어갔으나, 지난해 3~5월(100.9)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기선행지수가 9개월 연속 하락 흐름을 이어가는 데다, 올해 들어서는 100 이하로 떨어진 것을 두고 향후 경기 전망에 경고 신호가 켜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OECD의 타 국가들의 경기선행지수가 대부분 상승하는 국면에서 한국이 역행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실제 OECD 가입국의 평균 경기선행지수는 2016년 7월 99.5 이후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4월 100선을 넘어 올해 들어서는 100.1~100.2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