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금리단층을 해소하기 위해 중금리 대출 확대를 적극 주문하고 있지만, 정작 1금융권은 리스크 우려 등을 이유로 회피하고 있어 금융당국의 포용금융 정책을 무색게 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정부가 포용금융 정책의 일환으로 전 금융권에 중금리대출 상품 확대를 주문했지만, 아직까지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금리단층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1금융권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지만, 일부 시중은행들은 리스크 우려 등을 이유로 오히려 중금리대출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2금융권의 중금리 대출 취급비중은 증가했지만, 시중은행(1금융권)의 중금리(연 6% 이상) 대출 취급 비중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리 대출은 연 최고금리 20% 미만, 가중평균금리 16.5%로 4~10등급인 차주에게 공급되는 상품이다. 지난해 금융당국의 거센 요구에 저축은행과 카드사(카드론)를 중심으로 중금리 대출은 어느 정도 확대됐다. 중금리 대출 비중이 전년 대비 10~30%씩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금융권의 중금리 대출 금리는 대부분 10% 중반대 이상이어서 사실상 서민들이 이자 감소를 체감하는 정도는 크지 않다. 10% 안팎의 금리가 제공돼야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는 게 대체적인 지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1금융권의 중금리 대출 확대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시중은행들은 아직까지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4대 시중은행 가운데 지난해 중금리 대출(연 6% 이상) 취급 비중이 전년 대비 상승한 곳은 하나은행뿐이었다. 나머지는 감소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신한은행은 18.5%에서 13.5%로 4.8%포인트 줄었다. KB국민은행도 13.6%에서 11.3%로 감소했다. 우리은행은 2017년 9.9%보다 소폭 상승한 10.6%로 집계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은행들은 이 같은 감소 이유를 중금리 대출 증가폭보다 저금리 대출 증가폭이 컸다는 점을 꼽았다. 2017년과 달리 지난해에는 저금리 우량신용대출이 많이 늘어나 고금리 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줄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금융권 관계자는 "고위험군에 있는 신용등급자에게 10% 안팎의 금리를 제공하기에는 은행의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며 "금융당국의 요구로 중금리 대출 플랫폼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담보도 없는 고신용등급자에게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돈을 대출해줄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