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기업에 올해 3230억원 지원…당초보다 800억 상향

금융당국이 올해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총 3230억원의 자금을 공급한다. 또한 자금지원 시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통일된 사회적경제기업 평가시스템도 구축한다.

금융위원회는 10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올해 첫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사회적금융협의회는 금융위가 지난해 2월 발표한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의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관련 제도 개선을 협의하기 위해 구성된 협의체다.

우선 협의회는 올해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당초 공급 목표를 2430억원으로 잡았으나 기술보증기금의 소셜벤처 대상 보증 공급 확대, 신협의 대출 목표 상향 등으로 인해 목표액을 3230억원으로 증액했다.

금융위는 지난달 말까지 392개사에 902억원의 자금을 공급, 목표 대비 27.9%를 달성했다. 연중 공급목표가 3230억원이라는 점에서 산술적으로는 1분기당 목표치의 25%인 807억5000만원을 집행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자금공급은 대출, 보증, 투자 세 가지로 이뤄진다.

금융위는 올해 안에 총 860억원을 대출해줄 계획이며, 1분기중 이미 132억원을 공급해 목표 대비 15.3%를 집행했다.

또한 1분기 중 보증액 목표(1850억원) 대비 37.1%인 687억원을 공급했고, 투자액 목표(420억원) 대비 19.7%인 83억원을 지원했다.

금융위는 상반기 내 사회적경제기금을 추가 조성하고, 올해 사회투자펀드를 조성해 차질 없이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2019년도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지원 계획. [자료=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는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시 객관성,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 구축도 추진한다.

지난해 12월 신용보증기금과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공동으로 연구용역을 통해 평가시스템에 활용할 평가지표 및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사회적경제기업을 일반형과 협동조합형 2개 유형으로 나눠 특성에 맞게 사회적 가치 및 금융지원 타당성을 평가한다.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3분기 중 기업규모·업종·지원자금 규모 등 유형별로 세분화된 웹 기반 온라인 평가모형을 마련하고, 유관기관이 다양한 사업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에정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의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실적은 총 3424억원으로 전년(2527억원)보다 35.5% 증가했다.

사회적기업 대상 지원이 2987억원(87.2%)으로 가장 많았으며, 협동조합(278억원, 8.1%), 마을기업(138억원, 4.0%), 자활기업(21억원, 0.6%) 순으로 나타났다.

은행 중에서는 하나은행(904억원)과 기업은행(898억원)의 사회적경제기업 지원이 활발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분기별로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열고 자금공급, 인프라 구축 및 규제완화 등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은행별 우수사례를 소개해 은행권의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대출 활성화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