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초고장력강 부품 성형기술 '핫스탬핑' 특허출원 활발

최근 초고장력강 부품을 성형하는 핫스탬핑(Hot Stamping) 공법과 관련된 특허출원이 활발하다. 세계적으로 환경과 연비 규제가 강화되면서 기업들이 보다 가벼운 차량 소재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어서다.

13일 특허청에 따르면 핫스탬핑 기술 관련 특허출원은 2010년 이전에는 연간 출원 건수가 20건 이하에 불과했지만, 2011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해 매년 50건 이상의 출원이 지속되고 있다. 핫스탬핑 기술이란 금속 소재를 고온(900~950℃) 가열 상태에서 프레스 성형을 한 후 금형 내에서 급랭시켜 가볍고 강한 부품을 제조하는 공법이다.

핫스탬핑 기술을 이용하면 강판의 기존 두께를 유지하면서 강도는 2~3배 높이고, 무게는 15~25% 줄일 수 있다. 최근 국내 완성차 업체에서도 이를 채용한 신차를 줄이어 출시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CO2 감축, 연비개선, 안전성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볍고 강한 핫스탬핑 부품의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 세계시장 규모는 2016년 약 8억9000만 달러에서 오는 2021년 약 18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시장은 같은 기간 약 6600억 원에서 1조1500억 원으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핫스탬핑 부품[사진=특허청·엠에스 오토텍 홈페이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출원인별 출원 현황을 살펴보면, 내국인 출원이 60.8%, 외국인 출원이 39.2%를 차지하고 있다. 내국인 출원은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출원이 전체 내국인 출원의 7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대기업인 완성차 생산 업체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내 주요 출원인으로 대기업은 현대자동차㈜, 현대제철㈜ 등이 있고, 중견기업으로 ㈜엠에스 오토텍, ㈜성우하이텍 등이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핫스탬핑 기술은 경량화와 고강도가 필요한 로봇, 항공우주, 신재생에너지 등 첨단 미래 유망산업에서도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며 “글로벌 시장의 선점을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해외 출원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