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없이 안면인식 결제···혁신금융서비스 11건 추가 지정

  • 혁신금융서비스 현재 53건 지정···내년 3월까지 100건 지정 목표

카드나 스마트폰 없이 안면인식으로 결제되는 카드 서비스가 올해 안에 출시된다.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거래를 자동 탐지하고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서비스도 내년 출시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혁신금융서비스 11건을 추가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혁신금융서비스는 금융혁신지원특별법에 따라 도입된 금융서비스 시범 운영 제도인 금융규제 샌드박스의 혜택을 받는다.

신한카드는 안면인식 결제 서비스를 올해 안에 출시한다. 이 서비스는 전자금융거래법상 비대면 실명 확인 절차를 애플리케이션(앱) 인증 같은 본인확인으로 간소화하는 특례를 적용받는다.

눈·입·코·턱 간의 각도와 거리, 뼈의 돌출 정도 같은 얼굴 특징을 3차원(3D) 카메라로 추출해 인증센터에 등록하고, 가맹점에서 얼굴로 본인 여부를 확인하면 결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실제 얼굴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지는 않는다는 게 신한카드의 설명이다. 다만 이 서비스는 한동안 신한카드와 제휴를 맺은 한양대학교 내 가맹점에서만 운영될 예정이다.

신용정보업체 코리아크레딧뷰로(KCB)는 보이스피싱·착오 송금 예방 서비스를 내놓는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송금인이 입력한 수취인의 계좌와 휴대전화번호의 명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경고 알람을 받을 수 있다.

하나카드는 금융계좌가 없어도 선불 전자 지급 수단에 쌓인 포인트를 체크카드에 담아 오프라인에서도 쓸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내년 1월 출시한다. 기존에는 포인트를 온라인에서만 쓸 수 있었는데 오프라인 카드 가맹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들 서비스의 추가 지정으로 혁신금융서비스는 총 53건으로 늘었다. 금융위는 금융규제 샌드박스 시행 1년이 되는 내년 3월까지 혁신금융서비스를 100건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핀테크기업의 기술·아이디어를 보호할 법적 보호장치 마련, 샌드박스와 연계한 규제 개선, 핀테크 기업 맞춤형 감독 방안 등을 마련해 샌드박스에 대한 애로를 해소할 계획이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