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한·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가 26일 개최 이틀째를 맞이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아세안 9개국 정상들과 한곳에 모이는 다자회의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 참석하는 아세안 9개국 정상들은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말레이시아 총리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등이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도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훈센 총리가 장모의 건강문제로 인해 참석이 어렵다고 통보했다. 이로 인해 쁘락 소콘 캄보디아 부총리 겸 외교장관이 대신 이번 행사에 참석했고, 한·캄보디아 정상회담이 외교장과회담으로 변경됐다.
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이 자리에서 한·아세안 협력의 기본이 되는 공동비전 성명을 채택하고, 지난 30년간의 협력 성과를 평가할 예정이다. 또 향후 분야별 협력 방향도 제시할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벡스코에서 한·아세안 정상들의 개별 영접을 시작으로 공식 일정에 돌입한다. 이어 아세안 정상들과 단체기념촬영을 한 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된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세션 1과 세션 2로 나눠서 진행된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이어 업무오찬까지 함께한 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공동비전 성명을 채택하고, 이날 오후 3시경 공동언론발표를 한다.
문 대통령은 업무오찬에 앞서 한국과 아세안의 대표적 스타트업 기업이 참가하는 한·아세안 스타트업 서밋에도 참석한다.
문 대통령이 참석하는 ‘혁신성장 쇼케이스’는 한·아세안이 수소·전기차, 스마트 가전 등에서 협력한 사례를 구현한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민간 교류와 협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비전 성명에 대해 청와대는 한·아세안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경제 파트너십 강화, 연계성 심화, 지속가능성 및 환경협력, 사회·문화 파트너십 강화 등 분야별 협력 방향이 담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 30년간의 협력 성과 평가와 함께 한·아세안 관계를 한 단계 높이는 신남방정책 비전도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한·아세안의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등 3개 분야의 협력사업 및 성과를 담은 공동의장 성명도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공동언론발표까지 마친 문 대통령은 미얀마 국가고문, 라오스 총리 등과 연쇄 정상회담을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아세안 9개국 정상들과 한곳에 모이는 다자회의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 참석하는 아세안 9개국 정상들은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말레이시아 총리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등이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도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훈센 총리가 장모의 건강문제로 인해 참석이 어렵다고 통보했다. 이로 인해 쁘락 소콘 캄보디아 부총리 겸 외교장관이 대신 이번 행사에 참석했고, 한·캄보디아 정상회담이 외교장과회담으로 변경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벡스코에서 한·아세안 정상들의 개별 영접을 시작으로 공식 일정에 돌입한다. 이어 아세안 정상들과 단체기념촬영을 한 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된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세션 1과 세션 2로 나눠서 진행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후 부산 한 호텔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환영 만찬에서 아세안 10개국 정상 내외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나라펀 짠오차 태국 총리 부인, 문 대통령, 김정숙 여사,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응우옌 투 베트남 총리 부인,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이리아나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부인. 뒷줄 왼쪽부터 프락 속혼 캄보디아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 호 칭 싱가포르 총리 부인,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시엘리토 아반세냐 필리핀 대통령 부인, 마하티르 모하마드 말레이시아 총리, 시티 하스마흐 말레이시아 총리 부인,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날리 시술릿 라오스 총리 부인. [사진=연합뉴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이어 업무오찬까지 함께한 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공동비전 성명을 채택하고, 이날 오후 3시경 공동언론발표를 한다.
문 대통령은 업무오찬에 앞서 한국과 아세안의 대표적 스타트업 기업이 참가하는 한·아세안 스타트업 서밋에도 참석한다.
문 대통령이 참석하는 ‘혁신성장 쇼케이스’는 한·아세안이 수소·전기차, 스마트 가전 등에서 협력한 사례를 구현한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민간 교류와 협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비전 성명에 대해 청와대는 한·아세안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경제 파트너십 강화, 연계성 심화, 지속가능성 및 환경협력, 사회·문화 파트너십 강화 등 분야별 협력 방향이 담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 30년간의 협력 성과 평가와 함께 한·아세안 관계를 한 단계 높이는 신남방정책 비전도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한·아세안의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등 3개 분야의 협력사업 및 성과를 담은 공동의장 성명도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공동언론발표까지 마친 문 대통령은 미얀마 국가고문, 라오스 총리 등과 연쇄 정상회담을 한다.
한·라오스 정상회담까지 끝낸 문 대통령은 다음날(27일)부터 개최되는 제1차 한·메콩(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태국·베트남) 정상회의를 앞두고 메콩강 유역 4개국인 베트남·태국·라오스·미얀마 정상들과 한·메콩 환영만찬을 가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