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이복현 부장검사)는 1일 오후 '삼성그룹 불법합병·회계부정 사건' 관련 브리핑을 열고 총수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한 삼성그룹 핵심 관련자 총 11명을 불구속기소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승계 작업 일환으로 이뤄진 제일모직의 삼성물산 흡수합병 과정에서 삼성그룹이 벌인 조직적인 부정거래와 시세 조종, 업무상 배임 등 각종 불법 행위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과정에 관여한 이 부회장과 최지성 전 삼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 김종중 전 미전실 전략팀장(사장), 최치훈 삼성물산 이사회 의장 등 7명을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와 시세조종,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기소했다. 미전실 장충기 전 차장(사장)도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5월 6일 서울 서초동 사옥에서 경영권 승계와 노조 문제 등과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수사는 참여연대와 증권선물위원회가 삼성바이오 회계 부정 고발로 2018년 12월 시작됐다. 1년 9개월간 수사를 벌인 검찰은 2015년 5월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 제일모직 자회사인 삼성바이오 회계 변경은 경영권 승계 작업 일환이라고 결론 내렸다. 두 회사 합병 직전에 삼성물산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떨어진 것 역시 합병 비율을 이 부회장에게 유리하게 해 지배력을 강화하고자 그룹 차원에서 계획한 일이라고 봤다.
지난 5월 두 차례 검찰 조사를 받은 이 부회장은 관련 의혹을 모두 부인했다. 수사·기소의 적정성을 판단해 달라며 외부 전문가로 꾸려진 검찰수사심의위원회도 요청했다. 지난 6월 수사심의위는 이 부회장에 대한 수사 중단과 불기소 권고를 내렸다.
수사심의위 권고를 뒤집는 이 부회장 기소 결정은 지난달 27일 이뤄진 검찰 인사에 이미 감지됐다. 서울중앙지검은 특별공판2팀을 새로 만들고, 김영철 의정부지검 형사4부장을 팀장으로 앉혔다. 앞으로 삼성 재판은 특별공판2팀이 맡을 전망이다.
기업범죄 전문가인 김 부장검사는 이복현 부장검사와 이 부회장 등 삼성 의혹 사건을 직접 수사했던 인물이다. 이 부회장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과 수사심의위 논의에도 참석했다. '국정농단' 특별검사팀에서도 삼성 관련 수사를 맡았다.

이복현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가 1일 오후 서울고검 기자실에서 삼성그룹 불법합병 및 회계부정 사건 수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