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산불진화헬기.[사진=경기도 북부청 제공]
경기도는 올해 100억원을 투입해 산불진화헬기 20대를 임차 운영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이로써 경기도는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산불진화헬기 68대의 29%를 도입하게 됐다.
도는 이에 필요한 예산 20억원을 추가로 확보했다.
산불진화헬기 담수용량과 운영기간을 확대, 증가하는 도내 산불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도는 성남시를 비롯한 20개 시·군에 산불진화헬기를 분산 배치해 산불발생 시 30분 이내에 현장 도착 할 수 있는 '골든타임제'를 운영한다.
또 헬기를 산불발생이 잦은 봄·가을철에 집중 배치해 운영하고, 산불현장 영상전송시스템을 활용해 산불상황을 유관기관과 공유하는 등 진화공조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서울이나 강원도에서 산불 발생할 경우 행정구역을 구분하지 않고 지원해 산림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도내 산불발생 건수는 208건으로, 전국의 35%를 차지했다.
하지만 산불진화헬기가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피해면적은 53㏊로 전국 2916㏊의 1.8%에 불과했다.
지난해 봄·가을철 건조한 날이 많았고, 코로나19로 캠핑·등산 등으로 산림 휴양인구가 증가하면서 산불 대응에 어려운 점이 많았던 것을 감안하면 산불진화헬기 효과가 컸다는 반증이다.
실제로 도는 지난 한 해 산불진화헬기를 1464회를 출동시켜 진화 활동을 벌였다.
이성규 도 산림과장은 "지난해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했지만 산불진화헬기를 이용한 초동진화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며 "산불은 초기대응이 중요하므로 산불을 발견하거나 산불 위험이 있는 행위를 목격할 경우 즉시 소방서나 해당 시·군·구청으로 신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