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산업경영인 조업 장면. [사진=경상북도 제공]
이들에게는 사업기반 강화 및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육성자금 59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어업경영 계획의 구체성과 실현가능성, 전문성, 지역사회 공헌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신규 수산업경영인을 선정했으며, 후계자 15명 중 30대 4명, 40대는 11명이고, 우수 경영인 3명은 50대로 연령별로는 40대가 가장 많이 선정됐다.
이들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기술지도 및 교육을 통해 안정적인 어업경영체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돕고, 코로나 이후 환경변화의 능동적 대처를 위하여 가공, 유통 분야 교육도 강화할 예정이다.
어업인후계자의 융자지원 최대한도는 3억 원(연리 2%, 3년 거치 7년 균분 상환), 우수경영인의 최대한도는 2억 원(연리 1%, 5년 거치 10년 균분 상환)이다.
경상북도 어업기술센터에서는 수산업·어촌의 혁신을 선도할 우수한 수산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1981년부터 올해까지 1806명의 수산업경영인을 선정해 총 911억 원의 육성자금을 지원해왔으며, 앞으로 선정 인원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이영석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수산업경영인은 전문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은 미래 수산 전문 인력으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수산업과 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앞장서주실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