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아주경제DB]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처럼 밝히며 오는 2022년부터 2035년까지 14년간 총 3조7234억500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고 전했다. 위성 시스템, 지상 시스템, 사용자 시스템을 개발‧구축해 한반도와 부속 도서에 초정밀 위성항법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예정이다.
이는 우주개발 분야 역대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지난해 8월 예타를 신청해 이번에 본 예타를 통과했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인프라로서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을 준비해왔다.
이번 예타 통과에 따라 내년부터 사업 착수에 들어간다. 오는 2027년 위성 1호기 발사, 2034년 시범서비스, 2035년 총 8기의 위성 배치 완료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KPS 구축을 통해 센티미터(cm) 단위까지 오차를 줄인 초정밀 위성항법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유사시를 대비하고 자율주행차,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하반기에 사업 기본계획을 구체화하고, 사업예산 확보를 추진하는 등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사업 착수를 준비해나갈 예정이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KPS는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필수 인프라로서, 한-미 정상회담 성과를 바탕으로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우리나라의 우주 분야 투자 확대와 민간 우주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