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흑자 전환 1개 분기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SK온은 지난해 4분기 매출 1조5987억원, 영업손실 3594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1.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됐다. 이는 예상보다 더 큰 비용 부담과 함께 글로벌 공급망 문제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된다.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 6조2666억원, 영업손실 1조127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12조8972억원) 대비 반토막 난 수치이며, 영업손실은 1년 전(–5818억원)보다 적자 폭이 확대됐다. 특히, 매출 감소와 함께 증가한 원가와 물류비 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4분기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수혜는 전 분기 대비 약 34% 증가한 813억원에 달했다. SK온은 이를 통해 북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김경훈 SK온 재무본부장은 이날 진행된 지난해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업사이드 포텐셜과 다운사이드 리스크 공존하는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지난해 대비 유의미한 수준 성과 개선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전기차(EV) 수요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EU집행위원회의 친환경 정책 축소, 주요 OEM의 전동화 추진 속도 조절 등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성장세 회복의 지연이 지속될 것"이라면서도 "한편으로는 각국의 연비 규제 등 친환경 정책 지속효과, OEM의 EV라인업 확대 및 충전 인프라 확대 등에 힘입어 중장기적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SK온은 향후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과 생산 효율화에 집중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속 가능한 배터리 생산을 위한 친환경 기술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