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상진 경기 성남시장이 14일 "소재 미확인 위기가구를 이중 삼중으로 찾아내 지원하는 촘촘한 복지 체계를 갖춰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신 시장은 "내달부터 복지 등기 우편 사업을 시행해 소재 미확인 위기 가구를 찾아내고, 제도권 안 보호 조치에 나서기로 했다"면서 이 같은 입장을 내비쳤다.
이를 위해 신 시장은 최근 경인지방우정청과 위기 가구 발굴·지원에 관한 서면 업무협약을 맺고 적극 추진에 나선 상태다.
협약에 따라, 신 시장은 ‘행복e음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에 소재 미확인 가구로 등록된 위기가구에 복지 정보를 담은 안내문을 등기 우편으로 발송한다.
위기가구 방문·확인 시 대상자가 집에 없어 2~3차 시도에도 만날 수 없거나 연락이 닿지 않는 가구, 관련 우편물이 반송돼 소재가 확인되지 않은 가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신 시장은 귀띔했다.

경인지방우정청 소속 성남·분당 2곳 우체국의 집배원(총 242명)은 해당 등기 우편물을 배달하면서 대상자가 있으면 안부와 주거 환경을 살펴 시에 알려준다.
신 시장은 "여러 차례 방문 배달에도 집에 사람이 없어 등기 우편물을 전달할 수 없거나, 다른 우편물이 계속 쌓여 있으면 이 역시 시에 알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신 시장은 우체국에서 받은 정보를 토대로 대상 가구를 찾아가 장기 출타, 외출, 입원 등 소재 미확인 사유와 생활상을 상세 파악해 복지 서비스 연계를 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신 시장은 지난해 명예사회 복지 공무원 3056명으로 구성된 ‘찾지단(위기 가구를 찾아내 지원하는 단체)’ 운영을 거쳐 복지사각지대 의심 대상자 1만4606명을 발굴·조사했고, 이 중 87%인 1만2716명은 기초생활수급, 긴급복지지원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로 연계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