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차바이오텍의 2500억원 규모 유상증자 효력 발생일은 오는 22일로 예정돼 있다. 효력이 발생하면 증자 일정은 계획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차바이오텍은 지난해 12월 2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한 이후 올해 1월 금융감독원에서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받았다. 이에 2월 7일 2차 증권신고서를 제출했으나 신주 상장 예정일 등 일정만 지연됐을 뿐 증자 규모는 변동이 없어 논란이 일고 있다. 시장에서는 차바이오텍이 금융감독원 심사 문턱을 넘지 못하고 유상증자를 철회하거나 규모를 대폭 축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최근 금감원 측 정정 요구로 사업 계획을 취소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유상증자로 조달된 자금은 △운영자금 1200억원 △타법인 증권 취득 1100억원 △시설자금 200억원에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조달 자금 중 1100억원을 종속회사를 위한 투자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 주주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차바이오텍은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러지에 200억원, 차헬스케어에 9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두 기업 모두 적자 기업이기 때문이다. 제이오 인수 논란이 있었던 이수페타시스의 5500억원 규모 유상증자도 인수 계획을 포기한 뒤 증자 금액이 2500억원으로 축소되어 금융당국 승인을 받았다.
이어 "1차 증권신고서에서도 발행가는 2월 27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고 2차 증권신고서에도 확정 예정일이 다시 변경됐다"며 "발행가가 달라지면 조달 규모는 변경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유상증자를 추진하려면 오는 22일 전까지 금융감독원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고려아연의 2조5000억원 규모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제동을 걸어 결국 유상증자가 철회되도록 했고, 지난해 8월에는 두산그룹 지배구조 재편 관련 증권신고서에 두 차례 정정을 요구하며 계획을 무산시켰다.
지난주 소액주주 연대가 차바이오텍에 대해 주주제안을 한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주제안에는 집중투표제를 통한 사외이사 2인 선임 등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소액주주 연대는 주주제안에 필요한 지분 3% 이상이 확보된 것으로 파악돼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에 해당 안건이 상정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개인투자자들과 달리 이달 들어 차바이오텍 주식 17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 이수페타시스가 유상증자에 제동이 걸리며 20%대 급등한 것을 '학습효과'로 보고 저점에서 매수한 것으로 해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