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8/20250218173749546093.jpg)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한 작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18일(현지시간) 인도 매체 인디언익스프레스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글로벌 고용 플랫폼인 링크트인에 뭄바이를 비롯해 인도 전역에서 매장 관리와 서비스 기술자, 고객 대면 업무 등 13개 직책의 후보자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게시했다.
앞서 테슬라는 2021년 인도에 판매 인프라를 구축하고 임원 12명으로 이뤄진 태스크포스(TF)를 만드는 등 인도 진출을 타진했다.
지난해 4월에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인도를 찾아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만난 뒤 20억~30억달러(약 2조9000억∼4조3000억원)를 투자해 전기차 공장을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지만 머스크 CEO는 인도 방문을 며칠 앞두고 이를 전격 취소했다.
이를 두고 테슬라가 인도에 공장을 짓는 대신 전기차 수입 관세를 낮춰달라는 요구를 인도가 끝까지 거절했고, 테슬라도 매출 감소로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인도 진출이 무산됐다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인도에 대한 관세 인하 압박이 커지고 있고, 특히 지난 13일 모디 총리가 미국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면서 테슬라의 인도 진출도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당시 모디 총리는 머스크 CEO와도 만났다.
인디언익스프레스는 “테슬라는 오래동안 인도 진출을 고려했지만 높은 수입 관세 때문에 주저해 왔다”며 “그러나 최근 정부 정책 변화로 4만달러 이상 고급 전기차에 대한 기본 관세가 110%에서 70%로 인하되면서 인도 시장이 더 매력적으로 변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