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결정하자 일본 정부는 향후 어떠한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한일 협력이 계속해서 중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일본 현지 언론들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긴급 속보로 타전하고 60일 내에 있을 대통령 선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중의원(하원) 내각위원회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대한 질문을 받고 “어떤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올해는 한·일 수교 60주년”이라며 한국과 계속해서 협력해 나갈 방침을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앞으로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것이고 그것은 한국의 민주주의가 판단하는 것”이라고 전제하면서 “어떤 상황이 되더라도 한·일 간 긴밀한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정부로서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대응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공영방송 NHK는 “한국 헌법재판소가 ‘비상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타당하다는 결정을 내렸다”며 “윤 대통령은 즉시 파면됐고,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가 치뤄지게 됐다”고 보도했다.
NHK는 또 “한국 대통령이 파면된 것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두 번째”라고 짚으며 “한국에서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4개월 동안 사회 혼란이 지속되고 있어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주목받아 왔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윤 전 대통령은 내란을 모의한 혐의로 체포·기소되어 형사재판도 진행 중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주요 신문들도 인터넷판을 통해 속보를 타전하고 향후 치뤄질 대통령 선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4일 오전 헌법재판소가 파면을 선고했다”며 “헌법재판소에는 상급심 제도가 없어 이번 판단이 최종 결정이 되기 때문에 윤 대통령은 즉시 실직됐다”고 설명했다. 또 “차기 대통령 선거가 60일 이내에 이뤄진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도 관련 소식을 실시간 속보로 전하면서 미리 준비해둔 상세한 기사를 신속히 전했다. 아사히는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에 파면결정을 받아 실직하면서 사실상 대선이 시작됐다”면서 “진보(혁신)계는 최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가 유력 후보지만, 보수계 여당인 국민의 힘은 현재로서는 유력한 후보가 아직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닛케이 역시 인터넷판 머릿기사로 관련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하고 있다. 신문은 “윤 대통령이 즉시 실직하면서 60일 내에 대통령 선거가 치뤄진다”면서 “투·개표일은 6월 3일이 유력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여·야당 대립과 사회 혼란이 수습될 지는 불투명하다”는 견해를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