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6·3 조기 대선에 나갈 후보를 압축하기 위한 경선 첫 토론회를 19일 열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를 두고 '반탄파'와 '찬탄파' 간 신경전이 벌어졌다.
김문수·안철수·양향자·유정복 후보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강서구 ASSA 아트홀에서 국민의힘 1차 경선 토론회(A조)에 참석해 공통 주제인 '민생·경제·복지', '외교·안보'와 조별주제인 '청년 미래'를 놓고 토론을 펼쳤다.
비상계엄 사태 후 줄곧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해 온 안 후보는 대표적 반탄파인 김 후보에게 "탄핵 이후 국무위원으로서 국민에게 사과했는가"라고 질문했다. 김 후보는 "사과한 적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안 후보는 "그게 문제다"라며 "더불어민주당 전략이 다음 대선을 '이재명 대 윤석열'로 끌고 가려 하는데 우리가 반성과 사과가 없으면 결국 이 구도를 벗어나지 못해 필패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비상계엄으로 대통령이 파면됐는데 반성과 사과가 없으니 민주당이 우리를 '계엄 옹호당'이라고 밀고 있다. 많은 국민이 설득당하고 있는데 여기서 빠져나와야 한다"고 했다.
안 후보는 또 "헌재의 8대 0 판결을 받아들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게 보수의 가치인 헌법과 헌정질서에 순응하는 태도 아니겠냐"며 "비상계엄을 옹호해 헌법 가치를 훼손하고 어떻게 국민에게 표를 달라고 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김 후보는 "왜 대통령이 계엄을 했던가. 민주당의 서른 번에 걸친 줄탄핵, 걸핏하면 특검 때문"이라고 했다. "(탄핵 인용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지만 절차적으로 처음에 내란을 넣었다 뺐다 여러 문제가 있다"며 "저는 계엄을 옹호·찬성한 적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할 수밖에 없던 안타까운 사정의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고 응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