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 이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실적이 역대 미국 대통령 취임일부터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1928년 이래 최악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가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 자료를 인용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1월 20일) 이후 S&P 500 지수는 14%가량 하락했다. WSJ는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1932년 이후 최악의 4월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다우지수는 이달 들어 21일까지 9.1%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압박하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해임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이날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8% 하락했고 S&P 500 지수는 2.3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55% 급락했다.
통상적으로 주가가 하락하면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증가해 미국 중장기 국채 가격이 올랐지만, 이달에는 주가 하락과 함께 미국 국채 가격과 달러화 가치가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화 지위가 흔딜리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는 이날 장중 97.9까지 저점을 낮추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 이날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4.413%로 전장 대비 8.2bp(1bp=0.01%포인트) 올랐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스콧 래드너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최고투자책임자는 "이건 '신뢰 상실' 거래의 전형적인 특징"이라며 "정책 구조 때문에 불안정하고 알 수 없는 (미국) 경제에 자본을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