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서울 강남권 아파트 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권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세가격에 비해 크게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6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은 53.52%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5월 53.43%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하락한 것은 강남권의 전세가율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강남구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40.7%로 KB국민은행이 구별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3년 4월(50.1%) 이후 역대 최저다. 송파구 43.1%, 강동구는 50.0%로, 두 자치구 역시 조사 이래 가장 낮은 전세가율을 기록했다. 서초구 45.4%로 2023년 9월(45.2%)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저다.
반면 노원구(54.6%)나 도봉구(57.8%), 은평구(60.9%), 금천구(62.2%) 등의 강북 일부 지역은 4월 전세가율이 전월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 전세가율이 떨어진 것은 지난 2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청·청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전후로 강남 지역 아파트값이 크게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KB국민은행 통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올해 2월 한 달간 0.06% 상승했다. 그러나 이후 2월 중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으로 3월은 0.65%로 상승 폭이 확대됐고, 4월은 0.98%로 오름 폭이 더 커졌다.
이에 비해 전세가격은 2월 0.03%에서 3월 0.16%, 4월 0.27% 오르며 매매가격에 비해서는 낮은 상승 폭을 보였다. 특히 직접적인 해제 수혜지역으로 꼽히는 강남구와 송파구는 지난 4월 매매가격이 각각 3.18%, 1.80% 오른 반면, 전세가격 상승률은 각각 0.39%, 0.49%에 불과했다.
토허제 해제 번복으로 인해 수요가 몰리고 있는 강북 일부 지역도 전세가율이 하락했다. 성동구의 4월 전세가율은 50.58%로 2023년 4월(50.64%)을 제치고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마포구의 전세가율은 54.0%로 지난해 1월(53.6%) 이후 가장 낮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